특집: 경산의 역사와 압독국 > 교육·여성

본문 바로가기
현재날짜 : 2025-09-06 회원가입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여성

특집: 경산의 역사와 압독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일신문
댓글 0건 작성일 14-12-19 05:53

본문

                                                                                    김약수(대구미래대학교 교수)
 
 
 
Ⅰ. 경산의 지명유래와 역사
 
 
1.경산(慶山)지명 유래
 
<삼한시대>압독국(押督國)ㆍ압량국(押梁國)→<고대>(선덕, 진덕, 무열왕)압독주(押督州)ㆍ압량주(押梁州)/(경덕왕)장산군(獐山郡)→<고려>(태조)장산현(章山縣)/(충선왕1,1309)경산군(慶山郡)ㆍ옥산(玉山)
*『시경(詩經)』에 나오는 「농장지경(弄璋之慶)」: 아들을 낳은 경사. (농장: 사내아이의 장난감 구슬/ 아들을 낳음)
 
 
2. 경산의 역사
 
1) 선사시대
*『경산시문화유적분포지도―경산시―』(경산시ㆍ대구대학교박물관, 2006)에 의한 경산의 선사유적현황(삼국시대 이전)을 살펴보면(1991년과 1995년 대구지역에 편입된 지역(고산면, 안심읍)을 포함해서 모두 88개소가 확인됨.
* 신석기시대 1개소(안심 대림동유적 신석기 후기 B.C 2천년~B.C 1천년 추정), 청동기시대 유물산포지와 주거지유적(장방형ㆍ방형ㆍ원형) 24개소(탄소연대 기원전 10~7세기로 추정), 지석묘유적 52개소(기원전 5세기~기원전 2세기 추정), 석관묘유적 2개소, 옹관묘유적 1개소, 입석 8개소 등.
 
2) 삼한시대(초기 철기시대)
* 변진의 한 나라였던 압량국〔압독국〕이 위치한 곳으로 추정되는 임당유적(행정구역상 경산시 임당동ㆍ조영동, 압량면 부적리에 걸쳐 분포하는 대단위 고분군을 임당동고분군,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중심 고분군으로 임당유적으로 부름)
* 초기철기시대부터 목관묘(木棺墓), 목곽묘(木槨墓),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 암광목곽묘(岩壙木槨墓), 석실묘(石室墓) 등 다양한 유형의 분묘가 시기를 달리하면서 각각 조성됨.
* 발굴된 고분의 성격으로 보아 임당유적에 처음 분묘를 축조하기 시작한 집단을 세형동검을 표지로 한 초기철기시대(목관묘집단)~삼국시대 말 또는 통일신라 초기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분묘가 축조됨.
* 출토유물: 기원전 2세기~기원후 2세기 중엽에 걸쳐서 만들어진 것으로 편년되는 목관묘에서는 칠(漆)이 입혀진 현악기, 세형동검, 철검, 철모 등의 무기류, 쇠낫, 쇠도끼 등의 농공구류, 각종 무문토기류와 와질토기류, 한경(漢鏡)편(片) 등이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음.
 
3) 고대
102년<신라 파사왕(이사금)23> 압독국 신라에 항복/106년<파사왕 27>왕이 친히 압독으로 행차하여 빈궁한 백성을 살핌/112~133년<지미왕대>읍질국(현 안강)과 지금의 장산인 압량국을 멸망시킴/146년<일성왕(이사금)13>압량군 반란에 토평하고 잔무리를 남쪽으로 옮김/218년<나해왕(이사금) 27년>백제가 신라의 장산성을 에워싸므로 왕이 친히 군사를 이끌고 나가 공격하여 물리침/617년<진평왕39>원효(설서설薛誓幢, 혹은 설신당新幢) 출생/642년<선덕여왕11>김유신 압량주 군주에 임명/648년<진덕여왕2>김유신 압독주 도독이 됨/655<무열왕2>설총 출생(요석궁)/656<무열왕3>김유신후임으로 김인문 압독주〔압량주〕총관에 임명되어 장산성을 쌓음/661년<무열왕8>압량주〔압독주〕의 주치(州置)를 대야(현재 합천)으로 옮김/757년<경덕왕16>압독주를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침, 치성화〔미리〕현을 해안(현, 대구시 동촌)으로, 마진량〔미량〕현을 여량(현, 자인면의 북쪽지역, 진량면)으로, 노사화현을 자인(현, 자인면)으로 개명함.
 
4) 고려
940년<태조23>장산군(獐山郡)을 장산현(章山縣)으로 개명ㆍ강등됨. 하양현 설치/1018년<현종9>장산현, 하양현, 자인현이 경주부에 속현됨/1206년<희종2>일연(김견명) 출생/1309년<충선왕1>장산(章山)이 경산(慶山)으로 개칭되고 옥산(玉山)으로도 부르게 됨/1317년<충숙왕4>국사 일연의 고향이라 하여 복현(승격)됨/1390년<공양왕2>경산향교 창건/1391년<공양왕3>왕비 순비 노씨의 고향이라 해서 군으로 승격됨.
 
5) 조선
1392년<태조1>경산군이 현으로 강등됨/1562년<명종17>자인향교 창건/1580년<선조13>하양향교 창건/1592년<선조25>의병장 최문병ㆍ최대기ㆍ황경림ㆍ박의장ㆍ김후생ㆍ박경신 등이 왜적 격파/1601년<선조34>경산현, 하양현이 경주부에서 대구부에 속현됨/1607년<선조40>경산현, 하양현이 대구부에서 독립(복현)됨/1633년<인조11>자인현을 경주부에서 독립되도록 상소를 올려 진정함/1637년<인조15>자인현이 경주부에서 독립, 복현됨/1638년<인조16>경흥사 창건/1681년<숙종7>경산향교 이건/1728년<영조4>자인향교 이건/1895년<고종 32>경산현, 하양현, 자인현이 군으로 승격됨
 
6) 근, 현대
1914. 하양, 자인 2개 군과 신령군 남면 일부 경산군에 합병/1956.7.8 경산면이 읍으로 승격(법률 제393호)/<1966.7.1> 용성면에 육동출장소 설치(군조례 108호)/
<1973.7.1> 안심, 하양면이 읍으로 승격(대통령령 제6543호)/<1981.7.1> 안심읍, 고산면이 대구직할시 편입(법률 3424호) 2읍7면 1출장소/1986.12.1 육동출장소 폐지(군조례 1008호)/<1987.1.1> 와촌면, 경산읍, 압량면 일부 행정구역 조정(대통령령 제12007호)/1989.1.1 경산읍이 시로 승격, 경산군은 1읍 7면으로 행정구역 조정(법률 제4050호)/1995.1.1 경산시, 군 통합(법률 제4774호)/1997.11.1 진량면이 읍으로 승격(시조례 제226호)/2004.10.18 서부동 분동(서부1동, 서부2동)/2014년12월 현재 2개 읍(하양ㆍ진량), 6개면(와촌ㆍ자인ㆍ용성ㆍ남산ㆍ압량ㆍ남천), 7개동(중앙ㆍ동부ㆍ서부1동ㆍ서부2동ㆍ남부ㆍ북부ㆍ중방)으로 구성됨.
 
. 압독국과 사로국〔신라〕
 
1. 압독국 (押督國)〔압량국(押梁國)〕건국 및 영역
 
* 경산에는 신라에 병합되기 이전에 변진소국(弁辰小國)의 하나라고 하는 압독국(또는 압량국) 나라가 있었다는 『삼국사기』기록.
* 압독국은 『삼국사기』1, 파사왕 23년 조와 27년 조의 기록, 일성왕 13년 조의 기록 등으로 보아 우리가 원삼국시대라고 부르는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음.
* 경산 임당(압량), 자인 북사(노사화), 진량 신상리(마진량), 대구의 해안 불로동(치성화) 등 4개의 큰 세력집단들이 분포.
* 이를 통괄하는 집단이 영남대학교 앞 구릉의 임당집단(임당ㆍ조영ㆍ부적고분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음.
* 압독국 영역: 현재 경산지역 및 대구지역까지 포함한 넓은 지역이었음.
 
2. 압독국과 사로국〔신라〕
 
* 압독국이 언제 신라에 복속되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4세기 후반에 신라에 통합되었다고 추정한다.
* 압독국은 어느 한 시기에 신라에 완전히 병합된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에 걸쳐 일시적으로 신라에 복속되었다고 추정함. -신라가(사로) 주변의 소국을 연맹체로 흡수하는 과정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
* 신라가 낙동강 동쪽의 경북일대를 지배하여 통일체적 국가로 성장ㆍ발전하는, 곧 큰 연맹왕국을 완성하는 시기는 내물왕(356~402) 때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시기에 압독국이 신라에 완전 병합된 것으로 볼 수 있음.
* 그러나 신라가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로서의 체제를 갖추게 된 것은 6세기 초의 일인데, 중앙집권적인 체제 이전의 약 1세기 반 동안 압독지역은 신라왕실과 압독국왕의 후예들과 제휴 하에서 통치(간접통치)되었을 것으로 보임. -이것은 경산 임당동ㆍ조영동ㆍ부적동 고분군의 조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그리고 압독국이 신라에 완전히 복속된 뒤에도 이 지역은 신라에게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음. -신라는 경산지역에 압량주〔압독주〕를 설치하고 선덕왕ㆍ진덕왕 때 삼국통일의 중추적인 인물이었던 김유신과 김인문을 군주로 파견, 장산성을 구축케 하는 등 삼국통일의 전초기지로서 이 지역을 특별히 유의함.
* 무열왕 8년(661)에 압독주를 대야(현재 합천)로 옮겼는데, 이후부터 경산지역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쇠퇴해졌다.
 
Ⅲ. 경주 서봉총금관과 임당동고분 금동관
 
* 서봉총은 발굴조사 전 130호분. 1926년 고이즈미[小泉顯夫] 등이 발굴ㆍ조사,
* 당시 스웨덴의 황태자 구스타프 방한 중 시찰ㆍ참가함. 무덤이름은 황태자 참가 기념, 스웨덴의 한문표기인 서전(瑞典)과 고분 출토 금관의 봉황(鳳凰) 모양이 장식된 데서 각 1자씩 따서 서봉총(瑞鳳冢)이라 함.
* 국립경주박물관 소장(보물 제339호. 높이 30.7㎝) 3단으로 된 출자형입식(出字形立飾)을 앞면 및 좌우의 대륜(臺輪) 위에 각각 세우고 사슴뿔 모양의 입식 2개를 대륜 뒤쪽에 세워 다른 금관과 같은 형태.
* 2개의 좁은 금대를 전후ㆍ좌우로 연결하여 중앙에서 십자형으로 교차시킴으로써 내모형(內帽形)의 골격을 만들어, 그 교차점에 금판을 오려서 만든 봉황장식 3개를 붙여 장식한 예는 다른 금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
 
 
김약수교수: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석사과정). 대구카톨릭대학에서 문화인류학. 고고학. 한국사(박사과정) 공부함
한국기와학회 회장. 한국문인협회 경산지부 회장, 동국문화재연구원 원장 등 역임
(현)경산문회지킴이 회장. 경북문인협회 부회장. 경산문화원 부원장. 대구미래대학교 교수
논문: 금호강 유역의 지석묘 연구 등 30여 편 공저: 문화재조사 연구입문 등 다수 찬란한 고대 압독문화(출판예정) 2012년부터 일연선사 탄신기념 대제를 주관 주최하고 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많이본 뉴스
  청도군, 2025년 하반기 여성회관 프로그램 개강
  옥곡초 교직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경산시,‘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본격 추진
  경산시의회, 제264회 임시회 개회
  제10회 전국 청도관광사진공모전 시상식 개최
  2025년 하반기 『신혼부부 주거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신청자 추가모집
  경산Wee센터, 위기 학생 지원 역량 강화
  이선희 경북도의원 제1회 대한민국 지방자치대상 행정․의정 리더 부문 최우…
  영천경찰서, 교통경찰관과 함께하는 어린이 체험형 교통안전교육 실시
  청도군, 청도사랑상품권 9월부터 20% 상향 할인 판매
  특별재난지역 전통시장에서 30% 할인받고 명절 준비하세요
  영천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파견 특강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영천시자원봉사센터, 장기자원봉사자 62명에 인증서 수여
  영천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1조 4,763억 원 편성
  영천공설시장 골목을 가득 채운 문화! ‘다문화 예술 교차로’
  청도군, 지방소멸 대응 및 인구유입의 선도적 모델 제시
  영천시-한국수자원공사 포항권지사, 댐주변 지역 발전 위해‘맞손’
  경산경찰 제1차 치안정책자문단 회의 개최
  영천시, 출산율 전국 시부 1위!
  영천와인, 독일 베를린 국제와인대회 금ㆍ은상 수상!
  ‘별의 도시’ 영천, 제9회 영천댐 별빛걷기대회 성료
  청도군, 치매보듬마을 10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경북도, 제115주년 경술국치일 추념행사 개최
  생명을 구한 영웅들, 경북소방 하트세이버 왕 5명 탄생
  장산중, 내 고장 역사탐방 3회
  경산중 독도에서 나라사랑의 가치를 되새기다
  경산시, 2025년 하반기 구제역 백신 일제접종 실시
  경북도, 민간기업과 협력해 수소 상용차 인프라 확충에 나서
  풍각면 복합체육센터 준공식 개최
  청도군, 새마을지도자 한마음대회 완료
  경산경찰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범죄-ZERO’ 예방 교육
  경산시,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위해 드론 활용 방역 추진
  경산소방서, 와촌 휴게소 화재 초기 진압한 시민에 표창패 수여
  경산경찰, 개학기 PM(전동킥보드)와 이륜자동차 집중단속
  청도군, 2025년 공직자 부패방지 청렴 교육 실시
  경산교육지원청, 제42대 정수권 교육장 취임
  경산시 청소년 문화 감성 충전 「문화愛(애) 빠지다!」운영
  2025년 가족과 함께하는 주말 야외 체험 학교 참여가족 모집
  청도어린이도서관, 9월 독서의 달 행사 운영
  영천시 보현산천문과학관, 개기월식‘블러드문’관측행사 개최
  2026 시민체감 100℃ 시책 보고회 개최
  경산시 시기능 보조기기 '2025 태국 메디컬 로드쇼'로 동남아 시장 …
  제8회 영천시장기 파크골프대회 완료
  하반기 엄마 자조모임 (사랑모아(母兒)) 운영
  영천시, 임란영천성수복대첩 433주년 기념행사 개최
  영천시, 가을철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당부
  공정한 세상이 청렴한 세상입니다.

Copyright ⓒ kiinews.kr. All rights reserved.
창간:2013.01.7   등록번호:경북 다 01426    발행인 : 이병희    편집인 : 이성수    인쇄인 : 장용호
회사명:주)경일신문   대표자 : 이병희   등록번호 : 515-81-46720   소재지: (38584) 경북 경산시 원효로32길 45 1-3-113
전화번호 : 053-801-5959   이메일 : gstime5959@naver.com